STUDY/Fintech
[2021] Fintech 기술 트렌드 및 용어 정리
Garonguri
2021. 9. 5. 13:39
728x90
Fintech : 금융 (finance) + 기술 (technology) 의 합성어.
금융계와 IT계의 기술적, 제도적 융합을 통한 새로운 금융 산업의 한 분야 및 기술을 뜻한다.
여러 유럽권 및 미국의 기사와 칼럼들에서 발췌하여 대강 정리해 본
최근 핀테크의 기술 트렌드를 살펴보며, 생소한 용어들 또한 정리해보려 한다.
* 순서는 의미가 없다. 또한 내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각색했을 수 있다.
[ Fintech Trend 2021 ]
- NeoBank
- 오프라인 지점 없이 모바일,인터넷으로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 NaverPay, KakaoPay, Toss, SamsungPay, Revolut 등
- Online-only / Virtual / Direct / Neo 로 세분화 되어 있음
- Open API in Finance
- Fintech 기업의 Open API 이용은 금융 회사의 데이터와 기능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및 상품 개발이 가능해진다.
- 은행이 계좌 정보를 Open API로 Fintech 기업, 개발자 등 제 3자에게 제공하는것이 가능한 Open Banking 제도 도입 가능
->영국에선 시행 중 - Fintech, 모바일 전용 은행 등에서 활용되어 다양한 '개인화', '맞춤형' 서비스 제공 가능
- Open Bank Project?
- 제 3자에게 은행 API를 제공함으로써 은행이 가진 Data를 바탕으로 서비스, 상품 등을 개발할 수 있게 한다.
- 안전한가? -> 고객 성명, 비밀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열람할 수 없기 때문에 보안 측면에서도 안전하다 할 수 있다.
- Platform Banking
- Solarisbank, Bankable 등..
- RPA (Robot Process Automation)
- 로봇 소프트웨어를 통해 업무 프로세스를 단순화 하는 기술
- Block-chain
- 금융 및 은행권에서 기존 시행되던 중앙 업무 처리 방식 (허브 앤 스포크)을 네트워크 형태로 바꿀 수 있다. (비용 및 시간 절감)
- 데이터의 분산 저장으로 보안상 안전함
- IIN ( Interbank Information Network) JP모건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은행 간 정보의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 ML / AI / Big data
- 운영 비용 및 시간 절감 가능
- 금융 사기 식별 및 사이버 범죄 완화
- 대용량 데이터를 다뤄야 하기 때문에 빅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은 필수적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