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TUDY/Tech-Seminar5

Cache Cache란 ? :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저장소이다. 쉽게 말해, 보관 장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파레토의 법칙이란? : 캐시 동작의 당위성을 부여하는 철학적 법칙 (?) 이다. 80퍼센트의 결과는 20퍼센트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의미! 즉, 모든 결과를 저장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서비스를 할 때 많이 사용되는 20%를 캐싱한다면 나머지 80%의 결과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다. Cache의 종류 1. look aside cache (Lazy Loading) Cache에 Data 존재 유무 확인 Data가 있다면 cache의 Data 사용 Data가 없다면 cache의 실제 DB Data 사용 DB에서 가져온 Data를 Cache에 저장 look a.. 2022. 9.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SOLID 원칙] 2022. 8. 5.
Java의 버전 별 역사와 특징 안녕~ 오늘은 Java의 버전 별 역사와 특징에 대하여 간단하게 다루어 보겠습니다. JDK 1.0(1991) ㆍOAK 발표: GE사의 요청으로, 썬마이크로 시스템즈에서 C++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만든 언어 ㆍ메모리 할당/해제의 어려움과 다중상속으로 인한 실수유발을 극복하려고 했다. ㆍ1996년, JDK 1.0발표 : Java로 개명, Java Virtual Machine 1.0을 발표했다. Java Applet도 이때 처음 도입 JDK 1.0a2(1995) ㆍ1995년 5월 23일 발표. 자바 언어 자체가 정식으로 발표된 날 ㆍ이때의 명칭은 Oak JDK1.1(1997) ㆍJDBC, RMI, Reflection, JIT, Inner Class 개념 포함 JDK 1.2(1998) ㆍJava를 세 가지 버전.. 2022. 7. 11.
B- tree, B+ tree에 대하여. 장단점, 특징, 삽입/삭제, 검색.. 오늘은 이진 트리에서 발전된 형태인 B tree 친구들에 대해서 알아볼까 한다. 이진 트리란? 각각의 노드가 최대 두 개(0개, 1개, 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트리 자료구조 자세하게는 Full 이진 트리, 완전 이진 트리, 균형 이진 트리, 이진 탐색 트리 등이 존재한다. 모든 노드가 0개 또는 2개의 자식 노드를 갖는 full 이진 트리, full 이진 트리 중 leaf node가 꽉 찬 트리를 포화 이진 트리, 마지막 레벨을 제외한 모든 레벨에서 순서대로 (왼쪽->오른쪽)node가 채워진 트리를 완전 이진 트리, 이진 트리이면서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가지는 이진 탐색 트리, 노드에 저장된 키는 유일하다. 부모 키는 왼쪽 자식 키보다 크다. 부모 키는 오른쪽 자식 키보다 작다. 왼쪽, 오른쪽 서브트.. 2022. 6. 18.
5.14 Tech-Seminar : JAVA...에 대하여 1 짧은 시간 안에 Java의 모든 내용을 다룰 수는 없으므로 다음에 또 설명할 기회가 있길 바라며 간단히 목차를 작성해보았습니당 목차 더보기 1. Java 1-1. 특징 1-2. 장단점 1-3. 객체 지향과 절차 지향 2. Java의 동작 과정 2-1. JVM 2-2. Garbage Collection ... 유동적으로 진행할 예정. 1. Java Java는 객체지향 언어의 한 종류이다. 1-1. 특징 JVM만 설치했다면 운영체제에 독립적이고,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인 캡슐화, 상속, 다형성, 추상화를 지원한다. 보안성이 뛰어나다. GC가 자동으로 메모리를 관리해준다. 멀티 쓰레드를 지원한다. 더보기 자바는 한번에 여러개의 스레드가 동시에 수행된다. 즉, 멀티스레드 기반이다. 따라서 하나의 CPU가 .. 2022. 5.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