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TUDY16

[주식]『나의 월급 독립 프로젝트』 3장 * 저항선과 지지선의 개념을 무작정 외우려 하지 말고 박스 형태로 생각해보면 쉬움 (지지선이 밑변, 저항선이 윗변) - 지지선이 한번 깨지고 나면 강력한 저항선이 된다. 지지선은 우하향하며 깨지는데 지지선을 깼다는 것은 지지선을 윗변으로 하는 박스가 또 생긴다는 의미로 기억하면 좋을 것 같음. 지지선이 깨진다면 아마 차트는 해당 지지선을 저항선으로 하는 새로 생긴 박스 안에서 놀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 (bad) 지지선이 안깨지는 종목은 괜찮은 놈일 가능성이 높다(이 책에서 말하는 내용 기준, good. 눈여겨보자) - 저항선을 못뚫고 내려앉는다면 팔아라 저항선은 우상향하며 깨지는데 이미 내가 산 종목에 대해서 현재 시점으로 저항선이 깨지지 않았다면 앞으로도 박스에서 놀 가능성이 높다. 팔 시점이다. - .. 2024. 1. 21.
[경매] 경매 권리분석 이렇게 어려웠어? 응 알고있었어.. 3장 내용정리 경매 실전 4 STEP! 1. 물건 검색 물건 고르는 기준 1) 내가 잘 아는 곳 2) 내가 살고 싶은 지역 3) 신규 아파트 단지 (수리 부담이 적고, 편의 시설이 잘 갖춰져 있는 경우가 많고 보통 수요가 많다) 4) 대단지 (인프라나 교통 여건이 좋고, 전세나 매매 수요가 많음) 5) 교통이 편한 곳 6) 학군이 좋은 곳 7) 브랜드가 좋은 곳 (대형 건설 업체가 건설한 아파트 등) 검색 방법 : 지도 검색을 활용하자! (대법원 경매정보 사이트나 유료 사이트의 지도 검색 메뉴 이용) [ 경매에서 말하는 '쉬운 물건' 이란? ] 1. 말소기준권리 이후로 모두 소멸되는 물건 - 모든 권리가 소멸되는 물건만 우선 봐라. 유료 정보 사이트의 등기부현황에 '인수' 라고 표시된 물건은 일단 패스하자! 2. 명도.. 2023. 12. 3.
[경매] 경매 권리분석 이렇게 어려웠어? 응 알고있었어.. 2장 내용정리 안냐세염ㅎ2ㅎ2 2장 권리분석 편의 4가지 STEP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그래봤자 책을 읽는 것 이지만... 그냥 읽으면 잼이도 드럽게 없을 뿐더러 어려워서 머릿속에 당최 들어오지를 않으니.. 정리를 하며 읽어보려 합니다 원래 경매 공부란 일단 머릿속에 넣는 것이고 그때그때 꺼내어 읽어보는 것이라고 누군가 말했기 때문인 탓도 있음. 시작! Q. 권리 분석이란? A. 부동산을 매입하기 전에 해당 부동산에 법률적 하자가 없는지 살펴보는 것. 해당 과정을 통해 수익성 / 투자여부 / 입찰 금액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권리 분석은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 말소기준권리 찾기 2. 인수되는 권리 찾기 3. 임차인(점유자) 권리분석 4. 법원 경매 서류 및 기타 권리(인수 조건) 확인 네 가지 .. 2023. 11. 26.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기] 1~3장 생산 자산의 종류별 장단점 구분 장점 단점 예/적금 원금 보존 인플레이션 리스크 보험 1. 원금 보존 2. 보험위험 보장 1. 장기적 현금 유출 2. 인플레이션 리스크 3. 판매수당 (높은 사업비) 펀드 1. 전문가가 운용 (편리) 2. 수익발생 가능성 1. 운용보수 (높은 사업비) 2. 원금 손실 가능성 주식 1. 투자자 판단 하에 직접 투자 가능 2. 높은 기대 수익 3. 소액 투자 가능 1. 원금 손실 가능성 2. 무이자 레버리지 불가 부동산 1. 투자자 판단 하에 직접 투자 가능 2. 높은 기대 수익 3. 소액 투자 가능 4. 무이자 레버리지 활용 가능 1. 원금 이상의 손실 가능성 2. 낮은 환금성 > 보통 잉여자금이 생기면 소비 자산을 구매하는 데 치중했던지라 약간 반성이 되기도 했음 > 그래.. 2023. 8. 27.
Cache Cache란 ? :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저장소이다. 쉽게 말해, 보관 장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파레토의 법칙이란? : 캐시 동작의 당위성을 부여하는 철학적 법칙 (?) 이다. 80퍼센트의 결과는 20퍼센트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의미! 즉, 모든 결과를 저장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서비스를 할 때 많이 사용되는 20%를 캐싱한다면 나머지 80%의 결과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다. Cache의 종류 1. look aside cache (Lazy Loading) Cache에 Data 존재 유무 확인 Data가 있다면 cache의 Data 사용 Data가 없다면 cache의 실제 DB Data 사용 DB에서 가져온 Data를 Cache에 저장 look a.. 2022. 9.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SOLID 원칙] 2022. 8. 5.
728x90